유리온실 소개
(주)한국과기산업의 유리온실을 안내합니다.
창의 개구위치를 상하로 자유롭게 조절 할 수 있는 창이다.
중력환기에는 우수하나 풍력환기는 효과적이지 못하다.
목적기상의 미세조절이 가능하며 시스템의 자동화가 안정적이다.
알루늄의 열변형 계수는 크지만 시스템 운영은 문제없다.
개구 면적이 전 측창의 1/5이므로 환기량이 다름 시스템에 비하여 현저히 떨어진다.
수평으로 3단중 2단을 개폐하는 형태 (2-way 2단중 1단이 열리는 형태)
풍력환기에 대단히 우수하다.
중력환기에 적용하기에는 대단히 불안정하여 바람이 없는 지역 또는 연구시설 및 건물이 밀집되어진 곳에서는 설치를 고려하여야 할 시스템이다.
실내의 목적기상에 미세한 변화조절이 어려우므로 정밀함을 요구하는 동,식물의 연구시설에서는 적합지 않다.
시스템의 자동화가 불안정하다.
창호재의 열변형 계수가 큰 관계로 고온기(하절기)에는 운영장애를 갖는다.
개구 면적이 전 측창의 2/3이다.
온실의 형태에 관계없이 채용 가능하다.
크기 및 높이 = 1800*넓이 3/기둥간격 (이상의 규격 이상의 경우 시스템에 발생)
이론적인 내용과 실질적인 운전면에서도 현재 발표되어진 측창의 시스템 중 가장 우수하다.
온실의 하부에서 원하는 위치만큼 수직으로 위로 올려 개폐하는 방식이다.
측창의 하부만을 개폐할 수 있어 우수한 중력환기를 유도할 수 있다.
측장의 전부를 개폐하므로서 우수한 풍력환기를 유도할 수 있다. 수직개폐범위 = (측면높이-150)/2
측창의 개페범위를 상, 하 자유롭게 조절이 가능하므로 미세 환경조절이 가능하다.
측창의 개구면적은 측창의 100%이다.
바람이 많은 지역과 바람이 적은 지역 어디에도 관계없이 설치할 수 있다.
현재 일반 유리건축의 시스템 창호로 가장 많이 사용되는 시스템이다.
이론적인 내용과 실질적인 운전면에서도 현재 발표되어진 측창의 시스템 중 가장 우수하다.
온실의 하부에서 원하는 위치만큼 수직으로 위로 올려 개폐하는 방식이다.
측창의 하부만을 개폐할 수 있어 우수한 중력환기를 유도할 수 있다.
측장의 전부를 개폐하므로서 우수한 풍력환기를 유도할 수 있다. 수직개폐범위 = (측면높이-150)/2
측창의 개페범위를 상, 하 자유롭게 조절이 가능하므로 미세 환경조절이 가능하다.
측창의 개구면적은 측창의 100%이다.
바람이 많은 지역과 바람이 적은 지역 어디에도 관계없이 설치할 수 있다.
현재 일반 유리건축의 시스템 창호로 가장 많이 사용되는 시스템이다.
현재 우리나라에 가장 많이 보급된 벤로형 청창개폐 system이다.
와이드스팬형 유리온실에서 주로 사용한다.
와이드스팬형 유리온실이나 경량온 실에서 사용하는 방식으로 Direct System보다 모타수가 감소하므로 에너지 절약측면에서 유리하다.
가장 최근에 발표된 시스템으로 Rack & Pinion system 용마루 양창시스템 과 온실의 측창 시스템 중 vertical sliding window를 연합시켜 지붕전체 면적의 2/3을 개방하여 중력 및 풍력환기에 효과적으로 대처함과 동시에 강우 시 발생되는 온실의 피해에 대비하여 신속한 개폐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 록 설계 되어진 시스템이다.
비닐온실에서 주로 사용되는 시스템으로 비교적 시설비용이 저렴하므로 현재 비닐온실 및 그와 유사한 피복재를 사용한 온실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다.
빛은 에너지의 한 형태로서 물체에 부딪힐 경우에 반사/투과/흡수현상이 일어나며 그중에 흡수된 광선은 이미 광에너지로서는 소멸되고 다른 에너지로 전환된다. 온실의 유리를 투과한 광선은 지표에 닿아 반사하는 것도 있지만 흡수되는 것은 열에너지로 전환되어 토양의 온도를 높이는 한편 야간에는 긴파장으로 바뀌어 온실에 야간온도를 조성한다.
온실내에서 난방(적극적난방)을 실시하게 되는데 이때 가온된 실내공기가 외부공기와 접촉하지 못하도록 온실의 벽체 및 지붕면과 일정한 간격을 두고 천이나 기타 스크린 자재를 설치하여 주므로 열손실을 최소화 할 수 있다. 이중으로 닫혀 있는 공간의 공기층은 열을 전도하기가 어렵다. 이것을 이용하여 커텐을 치고 커텐과 피복제 사이에 공기층을 만들어서 열손실을 감고시키고자 하는 것이다.
건축물에서 요구하는 자연환기량(절대환기량)를 건축자체의 기능으로 충족하지 못할때와 동절기 천, 측창의 개폐가 정지되어 있고 갑작스런 환기를 요구할 때 또는, 온실내의 목적기상의 강제적 미세조절을 하고자 할 때 사용하도록 구성되어진 설비시스템으로 자동 제어시스템에 연결되어 온도/습도/가스(일산화탄소/이산화탄소)/시간/풍속 등에 효과적으로 대처하도록 하는 설비이다.
강제배기의 종류와 온실에서의 강제배기1종환기 : 송풍기와 배풍기를 설치하여, 송풍 및 배풍을 기계적으로 행하는 방법이다.
1종환기는 설비비 및 운전비등이 높으나 가장 확실한 환기 방법이다. 그러나 운전비용 및 시스템 창호를 통한 흡입 면적이 많으므로 거의 사용하지 않는다.
2종환기 : 송풍기만을 설치하여 외기를 이송하고, 자연에 의해 배기하는 방법이다.
2종환기는 실내의 압력이 정압이 되므로 가스 발생 및 배기를 주요 목적으로 하는 곳에서는 사용하지 않는다.
3종환기 : 배기풍만을 만들어 실내네서 배기하는 방식으로 송기는 자연에 의한다.
3종환기는 실내가 부압이 되므로 유해가스 배출 및 빠른 배기를 목적으로 할 때 사용되므로 온실에서는 3종 환기법이 적합하다.
온실에서의 환기를 위한 배기휀의 위치는 위의 이미지와 같이 Gable에 위피하며 그 높이는 내부에서 볼 때 차광스크린 보다 상부에 설치되어야 한다. 피복재를 통과한 태양광선은 온실내부의 여러 시설물과 부딪치면서 열에너지로 전환되는 특성을 지니고 있는데 이와같은 태양에너지의 특성이 일부공간에서만 적용되도록 알미늄증착 차광커텐을 설치하고 이곳에서 열로 교환되어진 실내공기를 배출한다.